TIL - 22/03/14
2022. 3. 14. 20:49
💻 Study
1. PUT vs PATCH
이미 공통때 왜 차이가 있는지 배웠는데 또 까먹어서 헷갈렸다. PUT은 데이터 전체를 update할 때, PATCH는 데이터의 일부를 update할 때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2. 에러코드
비밀번호를 잘 못 쳤거나, 인증코드의 유효시간이 지났다던가 하는 점에서 에러를 반환하고 싶었는데 404로 하면 404 페이지로 이동하니까 안되고, 400과 409 중에서 고민했다. 401은 인증이 안됨, 403은 권한이 없음 에서 발생하는 문제라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결론으론 409 상태를 사용했다. 400은 요청 데이터가 '문법적'으로 잘 못 되었을 때라고 사용한다.
3. Numpy
행렬로 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이다. 물론 고등학생 때 행렬을 배웠지만 오래 지나기도 했고.. 내적 product에 대한 개념도 없는 수준이어서 그냥 그렇구나 하면서 봤다. 그래도 강의가 많이 어렵진 않아서 다행이었다. Google colab을 사용해봤는데 jupter 노트북과 거의 흡사하다.
🌞오늘 하루
어제 저녁먹고 아무것도 하기 싫어서 2시간 정도 자버렸다. 일어나서 싸피셜 기사 쓴게 다였는데... 5시까지 잠에 못 들어서 그냥 잠들길 포기하고 Numpy 인프런 강의를 들었다. 확실히 추천 알고리즘 강의를 듣기 전에 들었어야했다. 앞으론 답답한게 덜하겠지? 내일은 pandas 강의를 들어야겠다. 그리고 할 수 있다면 제발 이번 주 안에는 추천 알고리즘 강의를 다 듣고싶다.
오늘부터 다시 미라클 모닝 시작해야지.
'Dev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9/22 (0) | 2023.09.22 |
---|---|
TIL - 22/03/15 (0) | 2022.03.15 |
TIL - 22/01/19 (0) | 2022.01.19 |
TIL - 22/01/06 (0) | 2022.01.07 |
TIL - 21/12/28 (0) | 2021.12.28 |